우리나라는 해외로 나가는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외교부에서 여행경보제도와 특별여행경보제도를 운영하고 있다. 간단히 설명하자면 두 개의 경보제도 모두 외국의 정보들을 취합해 각각의 국가에서 국민들이 안전을 위협받을 가능성을 판단해서 필요하다 싶을 때 발령되는 것들이다. 단계별로 차이가 있지만, 두 제도 모두 단계가 최고 등급까지 격상되면 해당 지역이나 국가는 가면 안 되는 곳 즉, 여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며 여행금지제도로 묶여져 관리 된다. 여행금지제도는 관련 법과 규정에 따라 국민들의 방문 및 체류가 금지되는 국가 및 지역을 정한다. 여행금지구역(흑색경보 발령)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 및 지역으로는 여행을 할 수 없고 체류하고 있는 국민은 즉시 대피 또는 철수해야 한다. 관련 법적 근거로는 여권법 제 17..
카테고리 없음
2017. 10. 1. 22:33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유엔총회 기조연설
- 아궁 화산
- LVMPD
- 예외적 여권사용허가
- 유엔 공식언어
- 해외여행 가기 전
-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
- 항공권 구매대행 취소 수수료
- 유엔 공용어
- 여행경보단계
- 독감 유행주의보
- 마우테 그룹
- 민다나오
- 화산 분화
- 주인도네시아한국대사관
- 해외여행
- 안전소식
- 필리핀 관광부
- 라스베가스 총격사건
- 라스베가스 총기난사
- IS 추종세력
- 외교부
- 특별여행경보
- 해외안전여행
- 필리핀을 가장 많이 찾는 나라
- 필리핀
- 해외여행 안전
- 한국인 대상 범죄
- 여행경보
- 라스베가스 경찰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